한국바이오협회 “글로벌 신약 개발 생태계에 악영향…국내 기업도 예의주시 필요”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미국 국립보건원(NIH)과 식품의약국(FDA)에 대한 예산 삭감이 추진되면서 글로벌 신약 개발 생태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22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미국 의회바카라사이트 벳무브처(CBO)가 지난 18일(현지시간) 공개한 보고서를 인용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미국 민주당이 의뢰해 작성된 것으로, 트럼프 행정부와 공화당이 제시한 2026 회계연도 보건당국 바카라사이트 벳무브 감축안의 영향을 분석한 내용이 담겼다.
트럼프 행정부는 내년 NIH 바카라사이트 벳무브을 올해 455억달러(약 63조1300억원)에서 40%(180억달러) 삭감한 275억달러(약 38조1500억원)로 편성했다. 내년 FDA 바카라사이트 벳무브도 올해 72억달러(약 9조9900억원)에서 5.5% 줄인 68억달러(약 9조4300억원)로 감축을 추진 중이다.
CBO 분석에 따르면 NIH의 전임상 연구비가 10% 줄어들 경우, 임상1상에 진입하는 신약 후보물질은 30년간 총 30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구체적으로는 첫 10년간 1개, 두 번째 10년간 9개, 세 번째 10년간 20개씩 줄어드는 구조다. 이는 전임상 연구의 장기적인 성격 때문에 바카라사이트 벳무브 삭감의 여파가 점진적으로 누적되기 때문이라는 바이오협회의 설명이다.
궁극적으로는 시장에 출시되는 신약 수가 연평균 약 4.5% 감소하고, 연간 기준으로는 2개 정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임상 단계에 대한 바카라사이트 벳무브 삭감은 더욱 빠른 시일 내 영향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번 보고서에는 해당 수치가 포함되지 않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민주당은 NIH 예산을 35~38% 삭감할 경우의 시나리오도 요청했지만, CBO는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추정이 어렵다”며 “향후 이를 반영한 신약 개발 예측 모델을 업데이트하겠다”고 밝혔다.
FDA 바카라사이트 벳무브 삭감에 따른 신약 허가 지연도 문제로 지적됐다. 민주당 요청에 따라 CBO가 시뮬레이션한 결과, FDA의 신약 허가 신청(NDA)에 대한 심사 기간이 9개월 늘어날 경우 첫 해 승인될 신약 대부분이 다음 해로 이월돼 승인 수가 급감하게 된다.
장기적으로도 영향은 지속된다. 심사 지연이 계속될 경우 첫 10년간 출시 신약이 3개 줄고, 이후 20년 동안은 10년씩 각각 10개가 감소해 총 23개가 시장 출시 지연 대상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FDA는 이미 바카라사이트 벳무브 감축에 따른 구조조정을 단행해 약 3500명의 직원을 해고했으며, 일부만 재고용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