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애브비(AbbVie)는 지난달 30일부터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ASCO 2025)에서 자사의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인 ‘텔리소투주맙 아디주테칸(이하 Temab-A, 개발코드명 ABBV-400)’의 임상 성과를 구두 발표 1건과 포스터 발표 2건을 통해 공개했다.Temab-A는 ‘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c-Met)’ 단백질을 표적하고, 강력한 ‘토포이소머라제 1 억제제’를 탑재한 차세대 ADC 후보물질이다. 고형암 치료 영역에서 다양한 병용 가능성을 평가받고 있다.애브비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존슨앤드존슨(J&J)이 개발 중인 삼중항체(trispecific antibody) 기반의 ‘면역항암제’가 재발성·불응성 다발골수종(RRMM) 환자를 대상으로 한 초기 임상에서 ‘완전관해(CR)’에 준하는 높은 반응률을 보였다. J&J는 3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 연례 학술대회(ASCO 2025)에서 자사의 삼중항체 후보물질인 ‘JNJ-79635322(이하 JNJ-5322)’의 임상1상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JNJ-5322는 다발골수종의 주요 항원인 ‘B세포 성숙항원(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로슈(Roche)는 3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ASCO 2025)에서 ‘광범위기 소세포폐암(ES-SCLC)’ 환자를 대상으로 ‘티쎈트릭(Tecentriq, 성분 아테졸리주맙)’과 ‘젭젤카(Zepzelca, 성분 럽리넥테딘)’를 병용한 1차 유지요법에 대한 임상3상(IMforte) 결과를 발표했다. 티쎈트릭은 로슈의 PD-L1 면역항암제다. 젭젤카는 DNA 손상을 유도해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알킬화 항암제’로, 미국 재즈파마슈티컬스(Jazz Pharmaceuticals
[더바이오 유수인 기자] 바이엘은 지난달 30일부터 3일까지(현지시간) 진행된 2025년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ASCO) 연례 학술대회에서 뉴베카(성분 다로루타마이드)와 안드로겐 차단요법(이하 ADT)을 병용한 임상3상(ARANOTE)에 대한 사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이번 분석은 호르몬 반응성 전이성 전립선암(이하 mHSPC) 환자를 대상으로 뉴베카의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 향상과 통증 악화 지연 효과를 평가한 것이다. 전반적인 웰빙을 평가하기 위해 사전 정의된 탐색적 지표인 ‘전립선암 치료 기능 평가(이하 FA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앱클론은 헨리우스에 기술이전한 'AC101(헨리우스 개발코드명 HLX22)'이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현(HER2) 양성 진행성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2상에서 투여 후 2년 이상 장기 효과를 보였다고 4일 밝혔다. 해당 결과는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초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고 있는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ASCO)에서 발표됐다.HLX22-GC-201 임상2상 최신 결과에 따르면, AC101을 다른 약물과 병용 투여한 환자군에서 장기간 치료 효과가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이는 기존에 보고된 결과를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큐리언트는 Axl·Mer·CSF1R 삼중저해제인 '아드릭세티닙(Adrixetinib, 개발코드명 Q702)'과 다국적 제약사 MSD(미국 머크)의 면역항암제인 '키트루다(Keytruda, 성분 펨브롤리주맙)' 병용요법의 임상1b상 결과를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ASCO 2025)에서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이번 임상시험은 MSD와의 공동 연구로 진행됐으며, 키트루다를 비롯한 항PD-1/PD-L1 치료제에 내성이 생긴 위암·식도암·간세포암 및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아드릭세티닙과 키트루다' 병용요법의 내약성,
[더바이오 유수인 기자] 세계 최대 규모의 암안전 바카라사이트인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ASCO) 연례회의에서 '리보세라닙'과 관련한 연구자 주도 임상 결과가 다수 발표됐다. HLB(에이치엘비)는 3일(현지시간) 폐막한 ASCO 연례회의에서 리보세라닙과 관련한 연구자 주도 임상이 총 15건 발표됐다고 4일 밝혔다. 해당 임상들은 두경부암, 담도암, 위암 등 총 9개 암종을 대상으로 리보세라닙 단독 또는 다양한 병용 요법으로 진행됐다.대표적인 임상은 재발성 또는 전이성 두경부 편평세포암의 1차 치료제로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의 효과와 안전성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티움바이오는 자사가 개발 중인 ‘TU2218(개발코드명)’과 ‘키트루다(Keytruda)’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2상 연구에서 확인된 임상 데이터 일부를 공개했다고 4일 밝혔다.해당 임상은 TU2218과 키트루다를 병용 투여해 종양미세환경 조절 및 면역 활성화를 통한 키트루다 반응률 상승 시너지 가능성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설계됐다. 이번 임상은 2025년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ASCO) 연례 학술대회 내 Trials in Progress(TPS) 세션을 통해 소개됐다. ASCO 2025의 TPS 세션은 진행 중인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단백질 분해 기반 신약 개발기업인 핀테라퓨틱스(Pin Therapeutics)는 미국의 비영리 연구기관인 ‘선종낭성암연구재단(Adenoid Cystic Carcinoma Research Foundation, ACCRF)’과 ‘선양낭성암(Adenoid Cystic Carcinoma, ACC)’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이번 MOU는 지난 5월 31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ASCO) 연례 학술대회 기간 중 공식 체결됐다. 이는 ACCRF가 설립 이후
[더바이오 이영성 기자] 이뮨온시아가 개발한 CD47 타깃 면역항암물질 'IMC-002'와 기존 항암제 '렌바티닙(Lenvatinib)' 병용요법이 간세포암(HCC, Hepatocellular Carcinoma) 대상 임상1b상에서 긍정적인 데이터를 확보했다. 1b상 중간결과, 이 병용요법은 부분반응(PR) 30%를 기록했는데, 기존 2차요법의 객관적 반응률(ORR) 10% 내외를 넘어서며 고무적인 결과를 보인 것이다. 특히 이번 연구는 PR 환자 3명중 2명이 1차 치료요법 면역항암제에 내성을 보인 사례인 만큼, 2차 치료제로서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MSD(미국 머크)가 개발 중인 차세대 KRAS G12C 억제제 후보물질인 'MK-1084(개발코드명)'가 대장암(CRC)과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1상에서 유의미한 항암 반응을 보였다.MSD는 이같은 결과를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 연례 학술대회(ASCO 2025)에서 발표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ASCO 2025에서 대장암 분야 초록 #3508, 폐암 분야 초록 #8605을 통해 각각 공개됐다.마조리 그린(Marjorie Gre
[더바이오 이영성 기자]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개발 전문기업인 아이디언스가 3차 치료 이상의 전이성 위암(mGC) 환자들을 위한 새로운 치료옵션 탄생 가능성을 높였다. 자사의 PARP 억제제인 '베나다파립'과 '이리노테칸'을 병용한 임상 1b/2a상(NCT04725994) 중간 결과, 무진행 생존기간 중간값(mPFS)은 4.2개월, 전체 생존기간 중간값(mOS)은 8.0개월을 기록했다. 기존 치료법보다 mPFS는 약 2배 이상으로 늘렸고, mOS는 2.3개월 연장시킨 것이다. 서로 직접 비교 임상(Head to head)을 수행한 것
[더바이오 이영성 기자] HLB(에이치엘비)그룹의 미국 자회사인 베리스모(Verismo Therapeutics)가 'SynKIR-110'을 고형암 타깃의 '혁신신약(First-in-class)' 치료제로 상용화시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SynKIR-110'은 자사의 KIR-CAR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한 차세대 CAR-T(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 치료제) 물질이다.베리스모는 5월30일부터 6월3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 2025(ASCO)에서 차세대 CAR-T 후보물질인 'SynKIR-110'의 임
[더바이오 이영성 기자]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이하 리가켐)가 '클라우딘18.2(Claudin18.2)'를 타깃하는 항체-약물 접합체(ADC) 후보물질 'LCB02A' 개발전략을 공개했다. 최근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는 '클라우딘18.2' 타깃 시장에서 리가켐은 그동안 글로벌 기술이전 사례로 기술력을 입증해온 자사의 '링커(linker)'와 '페이로드(payload)'로 승부수를 띄웠다. 특히 페이로드는 '위암'에 우위성을 갖는다고 판단한 '토포아이소머레이스 I(Topoisomerase I, 이하 TOP1)' 억제제를 처음으로 선택했다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MSD(미국 머크)가 개발 중인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인 ‘질로베르타맙 베도틴(zilovertamab vedotin, 개발코드명 MK-2140)’이 재발 또는 불응성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2상(waveLINE-003)에서 의미 있는 항종양 활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완전관해(CR) 비율이 50%에 달해, 새로운 치료옵션으로의 가능성이 이목을 끌었다.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ASCO) 2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BMS)가 자사의 면역항암제인 ‘옵디보(Opdivo, 성분 니볼루맙)’를 수술 후 보조항암방사선요법(CRT)에 병용 투여해 국소 진행성 두경부 편평세포암종(LA-SCCHN) 고위험 환자의 재발 및 사망 위험을 유의하게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BMS는 1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 연례 학술대회(ASCO 2025) 플레너리 세션에서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의 가능성을 입증한 글로벌 임상3상(NIVOPOSTOP)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2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화이자(Pfizer)는 자사의 유방암 치료제 후보물질인 ‘벱데제스트란트(vepdegestrant, 개발코드명 ARV-471 또는 PF-07850327)’가 ‘에스트로겐 수용체 1(ESR1)’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3상(VERITAC-2)에서 무진행 생존기간(PFS)을 유의미하게 연장했다고 밝혔다. ‘ARV-471’은 ‘파슬로덱스(성분 풀베스트란트)’ 대비 PFS 중앙값을 2.9개월 연장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1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고 있는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 연례
[더바이오 이영성 기자]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AZ)와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가 공동 개발한 항체약물접합체(ADC)인 '엔허투(Enhertu, 성분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가 유방암 치료제인 '퍼제타(Perjeta, 성분 퍼투주맙)'와의 병용요법으로 무진행 생존기간(PFS)을 유의미하게 개선한 임상3상(DESTINY-Breast09) 결과가 공개됐다.이번 연구 결과는 2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ASCO 2025) 연례 학술대회에서 공개됐다. 발표는 다나파버 암연구소(Dana-Fa
[더바이오 이영성 기자] 이뮨온시아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안전 바카라사이트 2025(이하 ASCO)에서 자사가 개발한 CD47 타깃 면역항암물질 'IMC-002'의 진행성 간세포암(HCC) 대상 임상1b상 중간 결과를 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IMC-002'와 '렌바티닙(Lenvatinib)' 병용요법의 용량 확장 파트로, 안전성과 초기 유효성에 대한 분석이다.안전성 측면에서 IMC-002는 호중구감소증 및 혈소판감소증이 전혀 보고되지 않았으며, 빈혈은 13명 중 2명(15%)에서 관찰돼 전반적으로 혈액학적 안전성이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다국적 제약사 로슈(Roche) 산하 제넨텍(Genentech)과 미국 국립암연구소(NCI)가 공동으로 진행한 임상3상(ATOMIC)에서 면역항암제인 ‘티쎈트릭(Tecentriq, 성분 아테졸리주맙)’을 보조 항암요법으로 추가 투여한 결과, 3기 DNA 불일치 복구 결핍(dMMR) 대장암 환자의 무병 생존기간(DFS)을 유의하게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연구는 면역항암제와 화학요법 병용이 dMMR 3기 대장암 환자의 재발 및 사망 위험을 낮추는데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며, 향후 치료 가이드라인 변화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