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투자·유통 구조 개선 비용 반영…CGT CDMO·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확장 지속

출처 : 바카라사이트 승리바카라 소울카지노
출처 : 바카라사이트 승리바카라 소울카지노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차바이오텍은 13일 공시를 통해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이 603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하며 반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미국 헬스케어 부문 성장과 호주·싱가포르 등 글로벌 네트워크 매출 확대, 싱가포르법인 신규 편입이 주된 성장 요인이다.

영업손실은 333억원으로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종속사 CMG제약의 유통 구조 개선 비용 △미국 정부 ‘품질보증수수료 제도(Quality Assurance Fee Program, QAF)’ 프로그램 관련 비용 선반영이 주요 원인이다. 순손실은 1022억원으로, 외화평가손실·증권 공정가치 평가 등 현금 유출 없는 회계 비용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별도기준 매출은 303억원, 영업손실은 23억원이다. 유전체 분석, 면역·줄기세포 보관, 위탁생산개발(CDMO) 등 핵심 바이오 사업 매출이 16% 증가했지만, 신약 파이프라인 확대와 인력 확보로 손실이 늘었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차병원·차바이오그룹 차의학연구원(CHARI)은 200명 규모 R&D 인력을 바탕으로 기초 연구부터 임상까지 전주기 세포치료제 개발 체계를 갖췄다.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미국 하버드대 의대 등 글로벌 연구진을 영입해 암, 파킨슨병, 노화 등 난치성 질환 대상 20여개 파이프라인을 운영하며 대규모 임상·기술이전을 준비 중이다.

세포유전자치료제(CGT) CDMO 사업도 확대되고 있다. 미국 자회사인 마티카바이오테크놀로지는 지난해 100억원 규모의 수주를 확보했고, 올해는 200억원 이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2026년 손익분기점 돌파를 목표로, 연말 완공 예정인 ‘세포유전자바이오뱅크(Cell Gene Biobank, CGB)’를 글로벌 CGT CDMO 생산 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더바이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