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G-102, GLP-1/GLP-2 이중 작용제…NTIG 플랫폼 적용
- 작년 8월 국내 임상1상 진입…비만과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 중

김종균 프로젠 메이저 바카라 사이트가 8일 비만·당뇨병 치료제로서 차세대 GLP-1/GLP-2 이중 작용제인 'PG-102'의 개발에 대한 세션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 지용준 기자)
김종균 프로젠 대표가 8일 비만·당뇨병 치료제로서 차세대 GLP-1/GLP-2 이중 작용제인 'PG-102'의 개발에 대한 세션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 지용준 기자)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프로젠의 차세대 비만·당뇨병 신약 후보물질인 'PG-102(개발코드명)'가 일라이릴리의 '마운자로',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와 비교해 체중 감량 퀄리티는 높이면서 당뇨병 치료의 경우 투여 간격에서의 이점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김종균 프로젠 대표는 8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개최된 바이오코리아에 참가해 '비만·당뇨병 치료제로서 차세대 GLP-1/GLP-2 이중 작용제, PG-102의 개발' 세션 발표를 통해 PG-102의 개발 과정에 대해 공개했다. PG-102는 프로젠이 개발하고 있는 차세대 비만·당뇨병 신약 후보물질로, GLP-1/GLP-2 이중 작용제다. 회사는 지난해 8월 PG-102의 국내 임상1상에 진입했다.

PG-102는 프로젠의 'NTIG 플랫폼'이 적용됐다. NTIG는 단백질의 혈중 반감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원천 기술이다. GLP-1은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되도록 돕는 호르몬으로, 혈당을 높이는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해 혈당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낸다. 같은 계열의 약물로는 마운자로와 위고비가 메이저 바카라 사이트적이다.

GLP-2는 GLP-1과 같이 장에서 작용하며 염증을 억제하는 기전을 보인다. 현재 상용화된 치료제로는 일본 다케다제약에서 개발한 단장증후군 치료제 '테두글루타이드'가 있다.

김 대표는 "PG-102는 NTIG 플랫폼을 활용해 GLP-1/GLP-2 약물 작용기전을 합친 신약 후보물질"이라며 "비만에서는 주단위 투여 제형, 당뇨병에선 월단위 투여 제형으로 개발을 목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프로젠은 비만(DIO) 마우스 모델에서 PG-102의 용량 조절을 통해 마운자로, 위고비와의 체중 감소 퀄리티를 비교했다. 3개 약물에서 20%대 체중 감소 효과가 나타난 시점을 기준으로 PG-102는 마운자로와 위고비와 비교해 복부 지방 감소 효과가 더 높았다는 게 김 메이저 바카라 사이트의 설명이다.

김 대표는 "전임상에서 나타난 체중 감소 효과가 임상에서도 이어질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며 "현재 GLP-1 계열의 비만 치료제의 경우 전임상의 체중 감소 퀄리티 효과가 임상에서도 재현된 만큼 PG-102의 효과도 임상에서 재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PG-102는 현재 당뇨약으로도 개발되고 있다. 김 대표는 "당뇨 마우스 모델에서 PG-102는 마운자로, 위고비와 비교해 포도당 수치가 더 빨리 감소했고, 당화혈색소의 정상 범위 도달 시점 역시 빨랐다"며 "이와 함께 동반되는 저혈당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 메이저 바카라 사이트는 올해 2분기 미국당뇨병학회에서 PG-102의 이 같은 비임상 데이터를 공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현재 임상1상 파트1인 단회 용량 증량 투여에 대한 중간 결과를 포스터 형태로 발표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매일매일 먹는 당뇨약, 그다음에 일주일에 한 번 주사하는 당뇨약들이 시장의 대세"라며 "PG-102는 한 달에 한 번 투여가 가능한 당뇨약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더바이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