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카라사이트 기가 신약 활성화, 연구 지원과 컴퓨팅 인프라 구축 중요"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신약융합연구원은 22일 서울 강남구 파르나스호텔에서 'AI신약개발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자문위원회에서는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AI 신약 연구 지원과 컴퓨팅 인프라 구축'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또 AI 신약 개발 융합 인재를 지속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교육플랫폼인 'LAIDD(Lectures on AI-driven Drug Discovery)'를 기반으로 하는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제안도 나왔다.
자문위원회는 AI 신약 개발 생태계 활성화에 대해 토론하고 "챗GPT 등장으로 컴퓨팅 파워의 중요성은 높아지는 반면, 개별 기업들은 이러한 인프라를 구축하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AI 신약 연구와 컴퓨팅 파워를 결합시키는 정부 연구개발(R&D) 과제가 만들어져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신약 개발 분야 AI 기술은 많은 시도를 해보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면서 'AI 협력형 신약 개발 과제'가 더 많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의견도 다수 나왔다.
자문위원회는 "AI 신약 개발 교육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수강생이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플랫폼인 LAIDD를 기반으로 부트캠프, 멘토링, 경진대회를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바카라사이트 기가신약융합연구원은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 구축과 관련해 단년도 사업인 '바카라사이트 기가 신약 개발 교육 및 홍보사업'을 다년도 사업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또 L바카라사이트 기가DD를 통해 학습한 수강생들이 부트캠프, 멘토링 프로젝트, 경진대회, 콘퍼런스 참여로 이어지는 실전 교육을 통해 현장형 융합 인재로 거듭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표준희 바카라사이트 기가신약융합연구원 부원장은 자문위원회 발제를 통해 바카라사이트 기가 신약 개발 생태계 활성화 과제로 △비전과 방향성 도출 △기술 수요 기반 협력형 바카라사이트 기가 신약 개발 프로젝트 실행 △데이터 활용 가속화 프로그램 가동 등을 꼽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협회는 AI 신약 개발 사업에 좀 더 매진하고 좋은 결과가 손에 잡힐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며 "제약바이오 산업이 미래 첨단 산업으로 발돋음할 수 있도록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제약바이오협회는 2022년 4월부터 'AI신약개발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올해에는 고경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센터장, 김우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이승환 서울대병원 교수, 이주용 서울대 교수, 이계형 한국화학연구원 센터장을 자문위원으로 새로 위촉했다.
2024년 바카라사이트 기가신약개발자문위원 명단(위원 가나다 순).
△고경철(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센터장) △김동섭(KAIST 교수) △김상수(숭실대 명예교수) △김선(서울대 교수) △김우연(KAIST 교수) △김정렬(삼성서울병원 교수) △박준석(대웅제약 센터장) △백민경(서울대 교수) △신현진(목암생명과학연구소 부소장) △오지선(서울아산병원 교수) △이계형(한국화학연구원 센터장) △이승환(서울대병원 교수) △이주용(서울대 교수) △장동진(에이치디정션 대표) △최인희(한국파스퇴르연구소 팀장) △추연성(스탠다임 대표) △한남식(케임브리지대 교수) △황대희(서울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