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파트너 이뮤노반트,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 계획 업데이트
- 2026년 'HL161ANS' 최대 10개 적응증으로 확장 계획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한올바이오파마가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 신약 후보물질인 'HL161(개발코드명)'의 중증근무력증 임상3상 톱라인에 대한 발표가 2025년 1분기 내 이뤄진다. 한올바이오파마의 미국 파트너사인 이뮤노반트(Immunovant)는 이같은 내용의 HL161 개발 계획을 31일 발표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지난 2017년 이뮤노반트의 모회사인 스위스 로이반트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와 자가면역질환 치료 신약 후보물질인 'HL161BKN(성분 바토클리맙)'과 'HL161ANS'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맺었다.
이뮤노반트는 바토클리맙에 대해 진행하고 있는 중증근무력증 임상3상 톱라인 결과와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신경병증 임상2b상 초기 데이터(initial data) 결과를 2025년 1분기 내 공개할 예정이다. 바토클리맙의 효능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HL161ANS의 최종 임상 방향성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그레이브스병(GD) 임상2상 결과 발표 및 향후 개발 계획은 올해 하반기에 공개된다. 또 바토클리맙 갑상선 안병증(TED) 임상3상 톱라인 데이터는 기존과 동일하게 2025년 상반기 발표될 예정이다.
이뮤노반트는 2025년 3월까지 HL161ANS에 대해 최대 5개의 등록 임상 프로그램에 진입하고, 2026년까지 최대 10개의 확증 임상 또는 임상에 진입한다는 목표다.
지용준 기자
(jyj@thebio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