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1512', 새로운 CXCR7 작용기전…'엘라피브라노' 대비 효능·안전성 확인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일동제약그룹 산하 신약 연구개발(R&D) 회사인 아이리드비엠에스(iLeadBMS)는 지난 5일부터 8일(현지시간)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유럽간학회(EASL)에 참가해 회사가 개발 중인 간섬유화증 치료제인 'IL1512(개발코드명)'에 관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IL1512는 간과 폐 등 장기에 발생한 '섬유증'을 치료하는 경구용(먹는) 약물이다. CXCR7 작용제(agonist) 기전으로 '혁신신약(first in class)' 후보물질이다. CXCR7은 '케모카인' 리간드 중 CXCL11과 CXCL12에 결합해 'G단백질결합수용체' 역할을 한다. 또 섬유아세포 활성화, 염증·조직 복구, 혈관 신생 등 다양한 섬유화 발생 경로에 관여하는 치료 표적으로 잠재성이 크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이번 EASL에서 공개된 아이리드비엠에스의 포스터에 따르면, 간독성 물질인 'CCl4(사염화탄소)'로 유도한 간바카라 카드카운팅화 모델 동물실험에서 IL1512 경구 투여에 따른 항바카라 카드카운팅화 효과가 관찰됐다. IL1512는 또 △콜라겐 생성 관련 단백질 표지자인 col1a1 △하이드록시프롤린 양 △형질 전환 성장인자의 하나인 TGF-beta 등 다양한 바카라 카드카운팅화 치료 지표도 유의미한 수준으로 개선했다.
일동제약은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CXCR7을 표적으로 하는 작용기전상의 신규성과 더불어 간 염증 및 섬유화에 대한 직접적인 개선 효과 등의 차별점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조 약물인 '엘라피브라노(elafibranor)' 대비 우수한 효능과 안전성 등 IL1512의 경쟁력을 부각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덧붙였다.
바카라 카드카운팅는 그동안의 연구 결과 등을 토대로 올해 하반기부터는 비임상시험 관리 기준(GLP) 독성시험에 착수할 계획이다. 또 빠르고 원활한 상업화 추진을 위해 관계기관의 신속 심사 및 희귀의약품 지정 제도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고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