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작용기전의 ‘PBX-7’ 페이로드로 높은 안전성과 효력 입증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피노바이오는 23일부터 25일까지(현지시간) 3일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nd ADC Toxicity Summit’에서 자체 개발한 항체약물접합체(ADC) 약물인 ‘PBX-7’ 시리즈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고 25일 밝혔다.
ADC Toxicity Summit은 ADC 독성학 분야 글로벌 전문가들이 모여 ‘ADC 독성’과 관련한 다양한 미충족 수요(Unmet Needs)의 해결책을 공동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화이자, 머크, 이뮤노젠, 머사나, 다이이찌산쿄, 애브비 등 전 세계 총 80여개 기업들이 모여 기초 연구부터 임상 단계에 이르기까지 ADC의 독성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여러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피노바이오는 이중기전 약물을 활용한 ADC라는 주제로 그동안 진행한 듀얼 작용기전(MoA) 페이로드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중기전은 하나의 약물이 2가지 기제로 동시에 작용함으로써 약효를 내는 것을 의미한다. 피노바이오의 PBX-7 시리즈 페이로드는 기존 캄토테신(Camptothecin)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Top 1(Topoisomerase I)’ 저해하는 동시에 추가로 항사멸 단백질 발현까지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기존 캄토테신 화합물 기반 ADC들은 Top 1을 강하게 저해해 낮은 농도에서도 강력한 항암 효력을 발휘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이이찌산쿄의 ‘엔허투’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Top 1은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에도 상당량 존재하고 있다. 정상세포에서 Top 1을 강하게 저해하면 혈액 독성, 염증성 질환 등의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피노실시간-바카라사이트가 개발한 PBX-7 시리즈의 페이로드는 기존 캄토테신 약물보다 Top 1을 약하게 저해하는 대신 암세포의 재생을 돕는 항사멸 단백질 발현을 강하게 억제해 항암 효과를 극대화했다. 암의 발생과 성장, 촉진에 기여하는 항사멸 단백질은 Top 1과 달리 암세포 내에서 과발현되고, 정상세포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항사멸 단백질의 작용을 강력하게 제한해도 부작용의 발생 우려는 낮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정두영 피노바이오 대표는 “이중작용 기전의 새로운 Top 1 저해제가 기존 캄토테신 화합물의 한계를 뛰어넘는 ‘차세대 ADC’의 역할을 해낼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R&D)을 통해 ADC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