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AIC 2년 만에 출격…바카라사이트 벳페어 표적 치매 치료제로 개발 중인 'DA-7503' 약리 작용 공개
- DA-7503, 'P301L' 돌연변이 있는 인간 바카라사이트 벳페어 발현 마우스 대상으로 전임상 진행
- 혈중 약물 농도 증가↑, 바카라사이트 벳페어 단백질 농도↓…바카라사이트 벳페어 병리 개선 효과 나타난 바이오마커 확인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동아에스티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후보물질인 'DA-7503(개발코드명)' 개발에 힘을 주고 있다. 회사는 이달 2년 만에 알츠하이머병 국제학회(AAIC)에 참석해 DA-7503의 약물 농도 증가에 따른 '타우 감소' 효과를 확인한 전임상 결과를 공개했다. 이는 타우를 타깃하는 유사 기전의 경쟁 후보물질이 증명하지 못한 효과라는 게 동아에스티의 설명이다. 특히 회사는 지난 5월 DA-7503의 임상1상에 돌입하며 글로벌 기술수출(L/O)을 위한 동력을 확보하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동아에스티는 지난 7월 28일부터 8월 1일까지 미국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AAIC에서 바카라사이트 벳페어 표적 치매 치료제로 개발 중인 DA-7503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AAIC에서 DA-7503의 포스터 발표는 2년 만이다.
올해는 DA-7503의 한층 발전된 약리 작용이 공개됐다. 동아에스티는 2022년 AAIC에 참석해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는데, 당시 DA-7503의 타우 단백질 결합 부위를 확인한 내용을 다뤘다. 다만, 직접적인 약효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하지만 이번 AAIC에서는 DA-7503의 타우 병리 개선 효과가 나타난 바이오마커를 확인한 게 핵심이다.

전임상(동물실험)은 'P301L' 돌연변이가 있는 인간 바카라사이트 벳페어 발현 마우스를 대상으로 뇌척수액(CSF) 내 바카라사이트 벳페어 감소 효과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DA-7503의 혈중 약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CSF 내 바카라사이트 벳페어 단백질의 농도가 현저히 감소했다. 또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고 바카라사이트 벳페어 응집을 방해했다. DA-7503이 뇌에서 바카라사이트 벳페어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셈이다. DA-7503을 투여한 인간 바카라사이트 벳페어 발현 마우스에서 △새로운 물체 인식 테스트 △Y-미로 테스트 △반즈 미로 테스트 등을 통해 유의미한 인지능력 개선 효과도 확인됐다.
알츠하이머병은 뇌 신경세포 밖에서 베타 아밀로이드가 침착된 '아밀로이드 플라그'와 신경세포 내에 과인산화된 바카라사이트 벳페어 단백질의 축적으로 응집된 '신경섬유다발'이 특징으로 꼽힌다. 현재 전 세계 단 하나의 알츠하이머병 신약인 바이오젠의 '레켐비(성분 레카네맙)'는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표적한다.
그럼에도 베타 아밀로이드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동시에 존재한다. 알츠하이머병의 진행 과정에서 베타 아밀로이드의 축적은 증상이 발현되기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증상이 발현될 때쯤에는 이미 베타 아밀로이드가 포화 상태에 이르게 되기 때문이다.
반면, 바카라사이트 벳페어 단백질의 응집은 서서히 발생해 알츠하이머병의 병기 진행과의 상관관계가 베타 아밀로이드와 비교해 뚜렷하게 나타난다. 최근 바카라사이트 벳페어가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유망한 표적으로 꼽히는 이유다.
글로벌에선 바카라사이트 벳페어 타깃 항체치료제 개발이 본격화한 상황이다. 현재 임상2상을 진행 중인 존슨앤드존슨(J&J)의 'JNJ-63733657(개발코드명)', 로슈의 '베프라네맙' 등이 대표적인 바카라사이트 벳페어 타깃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후보물질로 꼽힌다.
동아에스티는 DA-7503의 기술수출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임상 개발을 본격화했다. 혈중 농도 증가에 따른 바카라사이트 벳페어 단백질 제거 효과의 경우 경쟁사의 바카라사이트 벳페어 타깃 후보물질도 입증하지 못한 사례인 만큼 기대를 걸고 있다. 동아에스티는 지난 5월부터 건강한 성인 및 노인 72명을 대상으로 DA-7503의 단회 및 반복 경구 투여 후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적 특성을 확인하는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다.
동아에스티 관계자는 "올해 말부터 발표될 다른 단백질의 미세소관 결합부위 표적 항체의 임상 결과들이 긍정적이라면, 저분자화합물인 DA-7503의 가치가 더욱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DA-7503은 알츠하이머병뿐만 아니라 진행성 핵상마비와 같은 타우 병증으로도 적응증 확장이 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