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기있는바카라사이트 융복합’과 ‘인기있는바카라사이트 데이터’ 전문 인력 양성 사업 동시 운영
- 컨소시엄 기업 모집 중…우수 인재 채용·재직자 교육 등 다양한 혜택 제공
- 차세대 인기있는바카라사이트 인재 양성에 박차…디지털 헬스·AI 신약 개발 등 미래 산업 수요 대응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한국바이오협회가 디지털 헬스케어, 바이오 데이터,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등 차세대 바이오산업을 이끌 석·박사급 고급 인재 양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바이오협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전담하는 전문 인력 양성 사업의 주관기관으로서, 산업계 수요에 기반한 인재 배출에 집중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현재 바이오협회가 운영 중인 인력 양성 사업은 ‘바이오 융복합 기술 전문 인력 양성 사업’과 ‘바이오 데이터 산업 전문 인력 양성 사업’ 등 2가지다. 모두 디지털 전환과 바이오 혁신을 선도할 융합형 인재 확보를 목표로 하며, 특히 산업계와의 연계된 산학 프로젝트를 통해 실무 적응력이 뛰어난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 융복합 기술 전문 인력 양성사업(이하 바이오 융복합 사업)’은 디지털 헬스케어와 AI 기반 바이오소재 분야의 급성장에 따른 전문 인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으로, 2021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5년차를 맞았다. 이를 통해 총 192명의 석·박사급 고급 인력을 양성한다.
아주대·건양대·동국대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를, 청주대는 AI 기반 바이오소재 분야를 중심으로 특화 전공 트랙을 운영하고 있다. 수혜 학생들은 기업의 현장 실무 과제를 함께 해결하는 산학 프로젝트, 실제 산업 현장 수요 기반의 단기 교육 과정, 취업 지원 프로그램 등에 참여해 실무 역량을 키우고 있다. 사업 종료 시점인 내년 초를 기점으로 현장 맞춤형 인재들의 본격적인 산업계 진출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더불어 올해 새롭게 시작된 ‘바이오 데이터 산업 전문 인력 양성 사업(이하 바이오 데이터 사업)’도 눈길을 끈다.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개발(R&D) 인력 및 AI 신약 개발 분야 인력 대한 수요 증가에 발맞춰, 데이터 기반의 바이오산업 연구 혁신을 주도할 고급 핵심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바이오 인포매틱스(한양대 ERICA), 바이오 데이터사이언스(고려대·부산대), AI 신약 개발(서울대) 등 3개 특화 분야에 대해 산학 협력을 확대하고, 현장 투입이 가능한 실무형 인재 240여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이들 인력 양성 사업의 가장 큰 특징은 산업계와의 실질적인 협력이다. 수혜 학생은 1개 이상의 산학 프로젝트에 참여해야 하며, 컨소시엄 기업과 함께 실제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해 나가며 실무 역량을 강화하게 된다. 프로젝트 주제에 따라 내부 검토를 통해 ‘기업-학생 간 매칭’이 이뤄진다.
컨소시엄 참여 기업에는 우수 인재 채용 연계, 산학 프로젝트 참여, 재직자 대상 직무 향상 교육 등의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관련 분야 기업이라면 누구나 컨소시엄 기업으로 참여할 수 있다. 현재 바이오 융복합 사업에는 약 70개, 바이오 데이터 사업에는 50여개의 기업이 함께하고 있다. 컨소시엄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한국인기있는바카라사이트 석박사 인력 양성 사업 담당자(031-628-0038)에게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