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위 10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중 1분기 성장률 1위
-종근당 협업, 위염 적응증 급여확대로 올 하반기 처방액 증가 기대

[더바이오 지용준 기자] 대웅바카라사이트 홈런의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가 올해 1분기 국내 10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대웅제약은 펙수클루의 올해 1분기 처방액이 1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의약품 통계정보 유비스트에 따르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처방액 상위 10개 제품 가운데 3세대 치료제 P-CAB 계열은 모두 성장했다. 펙수클루는 57%의 처방 증가세를 보이며 3세대 치료제 P-CAB의 성장을 주도했다. 반면, 2세대 치료제 PPI 계열에서는 7개 제품이 마이너스 성장했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7월 발매한 국산 신약으로 지난 3월 기준 누적 처방액이 833억원을 달성했다. 발매 2년차에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 2위를 차지했다.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로서 1, 2세대 위장약의 단점들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점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P-CAB 계열 대웅제약 펙수클루는 약효가 빠르고 위산 분비를 억제한다. 특히 펙수클루의 반감기는 9시간으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중 가장 길다.
반면 1세대 치료제인 H2RA(히스타민-2 수용체 길항제) 제제는 위산 분비와 관련된 세 경로 중 단 한 개의 경로만 관여해 위산 분비를 부분적으로 억제하는 등의 한계가 존재했다.
2세대 치료제 PPI(프로톤펌프 저해제) 제제는 활성화 되려면 위산이 필요한데, 역설적으로 위산에 약해 약효가 떨어지고 발현되는 시간도 오래 걸린다. 또한 식전에 복용해야 최대 효과를 낼 수 있는 기전의 약물이다.
최근 대웅제약은 종근당과 펙수클루 공동 판매에 나섰다. 본격적으로 영업, 마케팅이 시작되면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올 하반기 위염에서의 적응증 급여확대가 이뤄지면 펙수클루 처방액은 다시 한번 크게 성장할 전망이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올해 종근당과의 협업은 물론 위염 적응증 급여확대를 통해 국내 위장약 시장에서 1위를 달성하고 2030년까지 매출 3000억원 달성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