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그레더볼 기술, 콜드체인 의존도 해소…RNA 치료제·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 상업화 전환점 기대

출처 : 레모넥스
출처 : 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

[더바이오 성재준 기자] 레모넥스는 전염병대비혁신연합(CEPI)과 공동 연구를 통해 냉장 보관이 가능한 차세대 메신저 리보핵산(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 백신 플랫폼 개발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레모넥스의 약물 전달 플랫폼인 ‘디그레더볼(DeGMPgradaBALL)’은 냉장·실온·상온 등 다양한 조건에서 최대 24개월간 안정성을 확보했으며, GMP 인증기관의 시험 성적서를 통해 공식 검증됐다. 회사는 이 성과를 기반으로 디그레더볼을 ‘국가 전략 기술’로 신청할 계획이다.

기존 mRNA 백신의 약물전달체인 지질나노입자(LNP)는 -80℃ 초저온에서만 안정적으로 보관이 가능해 생산·운송 과정에서 비용과 접근성 문제가 지적돼왔다. 주요 특허 장벽으로 인한 법적·기술적 리스크도 한계로 꼽힌다.

반면 디그레더볼은 mRNA뿐만 아니라 작은 간섭 RNA(siRNA), 펩타이드 등 다양한 차세대 치료 물질의 전달이 가능해 콜드체인 의존도를 낮추고 글로벌 공급망 취약성을 해소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향후 RNA 치료제·백신 개발은 물론,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으로의 확장 가능성도 기대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40℃에 육박하는 폭염이 잦아지며 콜드체인 제약은 상업화의 최대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디그레더볼은 이러한 한계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 확보와 상업화 추진의 전환점이 될 전망이라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들에 따르면 mRNA 백신 및 치료제 시장은 오는 2030년까지 100조원 이상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mRNA 기술은 감염병 대응을 넘어 암·희귀질환 등 다양한 치료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안정적인 공급망을 보장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원철희 레모넥스 대표는 “이번 성과는 mRNA 백신의 콜드체인 한계를 넘어서는 혁신적인 돌파구이자 글로벌 상업화의 핵심 기반”이라며 “국가 전략 기술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RNA 치료제 상용화와 글로벌 보건 위기 대응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레모넥스는 질병관리청이 주관하는 5052억원 규모의 ‘팬데믹 mRNA 백신 개발지원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국산화 개발을 이끌고 있다. 서울대병원과 서울대가 위탁기관으로 참여 중이다.

저작권자 © 더바이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