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C1130A, FDA·EMA 이어 세 번째 희귀메이저 바카라사이트 캡틴 지정
- 미국ㆍ한국ㆍ일본서 임상 1상 진행 중…5년 내 상용화 목표

GC녹십자 본사 전경 (출처 : GC녹십자)
GC녹십자 본사 전경 (출처 : GC녹십자)

[더바이오 진유정 기자] GC녹십자는 자사가 개발 중인 산필리포증후군 A형 치료제 후보물질인 ‘GC1130A(개발코드명)’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고 5일 밝혔다.

국내 희귀의약품 지정은 △유병 인구 2만명 이하인 질환에 사용되는 의약품 △적절한 치료 대안이 없거나 기존 치료제 대비 안전성과 유효성이 현저히 개선된 의약품을 대상으로 한다. 희귀의약품 지정 시에는 품목허가 신청 전 사전 검토 수수료 감면 및 조건부 허가 신청 대상이 되는 혜택이 부여된다.

산필리포증후군은 리소좀 축적 질환의 일종으로, 소아 약 7만명당 1명 비율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2~5세부터 언어 발달 지연 및 발달 정체가 나타나고, 이후 인지 기능 저하·운동 능력 약화·호흡기 문제가 발생해 생명에 심각한 위협을 준다.

현재까지 승인된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는 없으며, 증상 완화를 위한 재활 치료만 이뤄지고 있어 환자들의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질환이다. GC녹십자는 해당 치료제를 ‘뇌실투여(ICV)’ 제형으로 개발하고 있다. 약물을 뇌실로 직접 투약하기 때문에 중증 환자군의 인지 기능 개선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또 지난해 발표된 GC1130A의 비임상 결과에서 ICV 제형이 척추강 내 직접 투여(IT) 대비 최대 47배 높은 약물 전달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고 회사는 덧붙였다.

GC1130A는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도 희귀의약품을 지정받은 바 있으며, 현재 미국·한국·일본에서 임상1상을 진행 중이다. 회사는 이 치료제를 신속히 개발해 5년 내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허은철 GC녹십자 대표는 “국내 희귀의약품 지정으로 개발 속도가 한층 빨라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GC1130A가 산필리포증후군 환자들의 미충족 의료 수요를 해소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더바이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