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KDDF Science Conference’ 성료

출처 : 국가신약개발재단
출처 : 국가신약개발재단

[더바이오 강인효 기자] 국가신약개발재단(KDDF)은 지난달 28일부터 30일까지 강원 평창 알펜시아리조트에서 개최한 ‘KDDF 사이언스 콘퍼런스(2025 KDDF Science Conference)’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1일 밝혔다.

올해로 5회째를 맞은 이번 콘퍼런스는 재단이 주최하는 참여형 학술 행사로, 좌장·구두 발표·포스터 발표 등 모든 참가자가 역할을 맡아 진행됐다. 2021년 메신저 리보핵산(mRNA)·백신·약물 전달을 주제로 시작된 이후, 면역 기반 치료제(Immuno-based Therapy)·항체약물접합체(ADC)·뉴 모달리티(새 치료접근법) 등 최신 신약 개발 이슈를 다루며 매년 이어져왔다.

올해 콘퍼런스의 주제는 ‘차세대 신약 개발, 혁신적 기전과 AI 기반 기술로 가속화(Advancing Next-Generation Drug Development through Novel Mechanisms and AI-Driven Technologies)’다. 세포유전자치료제(CGT), 표적단백질분해(TPD) 치료제 등 새로운 기전과 인공지능(AI) 기반 기술이 제약바이오 산업을 재편하는 흐름 속에서 차세대 신약 개발 전략을 집중 조명했다는 게 KDDF의 설명이다.

세션과 포스터 발표는 △TPD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에볼루션 바카라 무료 및 데이터 사이언스 등 4개 분과로 구성됐다. 참가자들은 다양한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상호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공동 연구 가능성을 모색했다. 현장에서는 늦은 시간까지 활발한 학술 교류가 이어졌다.

특히 마지막 날 진행된 AI 및 데이터 사이언스 세션은 ‘궁극의 미래를 향해, AI와 신약 개발의 만남(Toward Ultimate Future: Where AI Meets Drug Development)’을 주제로 큰 관심을 모았다고 KDDF는 강조했다.

김선 서울대 교수는 세포·환자 수준에서의 약물 반응 예측과 유전자 바이오마커 발굴 AI 모델을 소개하며, 이를 결합한 통합적인 접근법을 제안했다. 김우현 카이스트(KAIST) 교수는 생성형 모델링이 분자 설계, 단백질-리간드 예측, LLM 기반 관계 해석 등 신약 개발 전 과정에서 혁신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또 남호정 광주과학기술원 교수는 신약 후보를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설계하는 ‘드노보(de novo)’ 화합물 생성과 항균 펩타이드 예측·설계에서의 혁신적인 AI 활용을 다뤘다. 정재호 연세대 교수는 기존 직렬형 AI 신약 개발의 한계를 지적하고, 양자 기반의 병렬형 플랫폼을 통한 설계–예측–검증 통합과 ADME/T 반영으로 고성공률 차세대 분자 설계를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신현진 목암생명과학연구소 소장은 에볼루션 바카라 무료가 일정 단축, 비용 절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질나노입자(LNP) 기반의 mRNA, CGT 등 뉴 모달리티로 확장되고 있음을 소개했다. 동시에 데이터 부족이라는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소의 전략과 미래 준비 방안도 공유했다.

이어진 패널 토의에서는 에볼루션 바카라 무료 기반 신약 개발의 혁신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미래 전략을 두고 열띤 논의가 이어졌다. 참가자들의 질문이 쏟아져 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활발한 교류가 이뤄졌다고 KDDF는 밝혔다.

박영민 KDDF 단장은 “올해 콘퍼런스는 차세대 기전 연구와 AI 기반 기술을 중심으로 신약 개발의 새로운 전략을 모색한 자리였다”며 “특히 AI는 현 정부가 강력히 추진하는 국가 전략산업이자 한국 신약 개발의 미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동력인 만큼, AI 기반의 신약 개발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연구자들이 성과를 창출하고 실제 개발로 연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더바이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